1.  SVN 디렉토리 역할

  • trunk : 소스의 주 개발 작업을 진행하는 폴더
  • branches : 소스의 현재 버전을 유지보수하고, 현재 버전을 기반으로 차기 버전을 개발할 경우 사용하는 폴더
  • tags : 릴리즈된 소스를 관리하기 쉽게 따로 보관하는 폴더

 

2.  branch 생성 -> 소스코드 수정 -> merge -> tag 생성

1.  프로젝트 우클릭 > subversion > branch or tag

  • Base URL : SVN 서버에서 브랜치를 저장할 경로
  • Name : 브랜치명

2.  상단 SVN > Update Project 에서 branch 프로젝트로 들어간다.

3.  소스코드 수정 후 commit하면 SVN 서버의 해당 브랜치에서만 소스코드가 변경된다.

4.  다시 SVN > Update Project에서 trunk 프로젝트로 들어간다.

5.  프로젝트 우클릭 > subversion > Integrate Directory 클릭해서 수정 작업한 branch를 trunk로 병합한다.

6.  trunk 를 SVN 서버에 commit 한다.

7.  프로젝트 우클릭 > subversion > branch or tag 에서 branch를 생성했듯이 tag를 생성하면 된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 SVN 서버에서 생성한 branch와 tag가 생성된 것을 볼 수 있다.

이렇게 tag를 생성해서 빌드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면 ,이후 장애 발생시 롤백하는데 유용하다.

'인프라 > SVN' 카테고리의 다른 글

[SVN] IntelliJ에 SVN 연결 및 Share  (0) 2021.09.14
[SVN] CentOS7에 SVN 설치하고 저장소 만들기  (0) 2021.09.14
복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