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이중화
2021. 8. 30. 13:56
개념/DB
데이터베이스 이중화 (Database Replication) 시스템 오류로 인한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중단이나 물리적 손상 발생 시 이를 복구하기 위해 동일한 데이터베이스를 복제해 관리하는 것입니다. 데이터베이스 이중화 분류 Eager 기법 : 트랜잭션 수행 중 데이터 변경이 발생하면 이중화된 모든 데이터베이스에 즉시 전달해 변경 내용이 즉시 적용되도록 하는 기법 Lazy 기법 : 트랜잭션의 수행이 종료되면 변경 사실을 새로운 트랜잭션에 작성해 각 데이터베이스에 전달되는 기법 데이터베이스 이중화 구성 방법 활동-대기 (Active-Standby) 한 DB가 활동 상태로 서비스하고 있으면 다른 DB는 대기하고 있다가 활동 DB에 장애가 발생하면 대기 상태에 있던 DB가 자동으로 모든 서비스를 대신 수행합니다..

Bridged Networking
2021. 8. 27. 11:33
개념/Network
Bridged Networking 란? Bridged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한다면 자신의 컴퓨터가 하나의 다리(Bridge) 역할을 하게 됩니다. 컴퓨터가 스위치 허브로부터 자신의 IP 대역과 동일한 IP 주소를 가상머신 대신 받아오는 형태입니다. 가상머신 컴퓨터의 네트워크 어댑터와 호스트 컴퓨터의 네트워크 어댑터가 연결되어 브릿지됨으로써 호스트 네트워크와 게스트 네트워크가 서로 동등한 수준의 네트워크를 제공받게 됩니다. 그림처럼 공유기가 호스트 컴퓨터에게 IP 주듯이 브릿지를 통해 가상머신에게도 호스트 컴퓨터와 동일한 네트워크 대역의 개별 IP를 줍니다. 그래서 가상머신은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게 됩니다.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2021. 8. 27. 10:33
개념/Network
NAT 란? 직역하면 네트워크 주소 변환으로 사설 IP를 공인 IP로 변환해주는 기술입니다. 공유기(=라우터)에서 사용되는 기술이고 사설 네트워크에 속한 여러 개의 기기가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VMware, VirtualBox, Hyper-V는 NAT 라우터를 자체적으로 내장하여 내부 사설망으로 구성된 가상머신들이 외부와 통신할 수 있게 해줍니다. 동작 원리 예를 들어 192.168.0.4의 사설 IP를 사용하는 컴퓨터에서 네이버 사이트에 접속할 경우 아래와 같은 순서로 처리가 됩니다. 1. Gateway Address에 해당하는 IP의 머신에게 네이버 사이트로 접속하라는 신호를 보냅니다. 2. 공유기는 네이버 사이트를 요청한 사설 IP를 저장합니다. 3..

IP 종류 (외부, 내부, 공인, 사설, 고정, 유동)
2021. 8. 27. 09:59
개념/Network
네트워크 공부를 하다보면 어떤 IP를 입력해야 정상적으로 정상적으로 접속이 가능한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IP의 종류에 대해서 알고 그 차이가 무엇인지 공부하고자 정리했습니다. 공인 IP (= 외부 IP) 인터넷 사용자의 로컬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ISP)가 제공하는 IP 주소입니다.공인 IP는 전세계에서 유일한 IP 주소를 갖으며 외부에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인터넷에 연결된 다른 PC로부터의 접근이 가능합니다.따라서 공인 IP 주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방화벽 등의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가 있습니다. 사설 IP (= 내부 IP) 일반 가정이나 회사 내에 할당된 네트워크 IP 주소이고 로컬 IP라고도 불립니다. IPv4 주소 부족으로 인해 서브넷팅된 IP이기 때문..